정규표현식 문법^ : 문자열의 시작을 나타냄. $ : 문자열의 종료를 나타냄. . : 임의의 한 문자를 나타냄. (문자의 종류는 가리지 않는다)| : or를 나타냄. ? : 앞 문자가 없거나 하나있음을 나타냄. + : 앞 문자가 하나 이상임을 나타냄. * : 앞 문자가 없을 수도 무한정 많을 수도 있음을 나타냄. [] : 문자 클래스를 지정할 때 사용한다. 문자의 집합이나 범위를 나타내며 두 문자 사이는 '-' 기호로 범위를 나타낸다. []내에서 ^ 가 선행하여 나타나면 not 를 나타낸다. {} : 선행문자가 나타나는 횟수 또는 범위를 나타낸다. a{3} 인 경우 a가 3번 반복된 경우를 말하며, a{3,}이면 a가 3번 이상 반복인 경우를 말한다. 또한 a{3,5}인 경우 a가 3번 이상 5번 이하 ..
■ jQuery select box 관련 api // select box ID로 접근하여 선택된 값 읽기$("#셀렉트박스ID option:selected").val(); // select box Name로 접근하여 선택된 값 읽기$("select[name=셀렉트박스name]").val(); // 같은 방식으로 span과 같은 다른 태그도 접근 가능하다~$("span[name=셀렉트박스name]").text(); // 선택된 값의 index를 불러오기var index = $("#셀렉트박스ID option").index($("#셀렉트박스ID option:selected")); // 셀렉트 박스에 option값 추가하기$("#셀렉트박스ID").append("1번"); // 셀렉트 박스 option의 맨앞에 추..
[UNIX]- grep -r [찾을내용] [디렉토리]-> 폴더 안의 파일 내용에서 특정 단어 찾기 - cat [파일명] | grep [찾을내용] -wa-> 특정 파일에서 찾을 내용이 포함되어있는 문장 한줄을 보여준다. // 파일에서 특정문자가 몇개나 있는지grep '찾을문자' '파일경로' | wc -lex)cat /test/view.xml | grep '' | wc -lgrep '' /test/view.xml | wc -l -- 프로시저에서 특정단어 SELECT DISTINCT OBJECT_NAME(ID) FROM SYS.SYSCOMMENTS WHERE TEXT LIKE '%TB_POINT%'; -- 테이블명 검색select table_name from information_schema.tables wh..
코드 압축도구(compressor)- JavaScriptJavascript compressor http://javascriptcompressor.com Huffman JavaScript Compression http://rumkin.com/tools/compression/compress_huff.php JS Minifier http://fmarcia.info/jsmin/test.html - CSSCSS & JavaScript Compressor http://www.creativyst.com/Prod/3/ CSS OPTIMIZER http://www.cssoptimiser.com/ CSS compressor http://www.phpinsider.com/compress_css.php ROBSON CSS C..
1)LoadJS("http://wwww.site.com/js/callJS.js", fncCallback); // JS 로드 메소드function LoadJS(fileUrl,callback) { var oHead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HEAD').item(0); var oScript= document.createElement("script"); oScript.type = "text/javascript"; oScript.src=fileUrl ; oHead.appendChild(oScript); if (document.addEventListener) { oScript.onload = callback; oScript.onerror = callback; } else { oSc..
번호 이름 나이
var datas = ["1", "2", "3", "4", "5", "6", "7"]; var dataSlice = datas.slice("3"); var dataJoin = dataSlice.join(" + "); alert(dataSlice);-> 결과 : 4, 5, 6, 7-> 내용 : slice(startIdx)인자로 받은 값부터 노출한다ex2 ) slice(startIdx, endIdx);alert(datas.slice(1, 4));-> 2, 3, 4-> startIdx 포함 ~ endIdx 이전 값을 노출한다 ( 0 부터 시작 ) alert(dataJoin);-> 결과 : 4 + 5 + 6 + 7-> 내용 : join(연결문자);각 목록들을 노출 시 연결 문자를 셋팅한다
1. Blocking과 NON-Blocking 차이가 뭔가요? 잘 이해가 안되네요? 둘간에 차이점좀 설명 부탁드려요.네이버나 구글등 검색엔진에서 검색하시면 이와 관련된 많은 자료를 얻으실 수 있기에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단어적인 측면에서 비교해보자면 블록킹은 뭔가 막힌다는 의미가 되고 논-블록킹은 막히지 않는다 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 블록킹 소켓에 대한 설명블록킹 소켓을 사용하면 한 타임에 하나의 접속만 처리가 가능 합니다.예를들어, 블록킹 소켓을 사용한 서버라고 가정하는 경우 서버의 역할상 동시다발적으로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접속을 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데 블록킹 소켓을 사용하면 순차적으로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받아들여 작업하고 해당 작업이 완료 돼야 다음 접속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
- Total
- Today
- Yesterday
- 쿠스코
- 토레스 델 파이네
- 킹덤 호텔
- 빅토리아폴스
- 볼리비아
- 칠레
- 남미
- 마추피추
- 성스러운 계곡
- jQuery
- 나미비아
- 칼라마
- Cusco
- 푸에르토 나탈레스
- 족발
- 우유니
- 남미 저가항공
- aguas calientes
- 빈트후크
- calama
- 애드센스
- 후마리
- 성계 투어
- Oracle
- 햄버거
- 아구아스 칼리엔테스
- Uyuni
- Cambodia
- Namibia
- 캄보디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